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IT 사업 개발 캠프 13기 1일차 과제

by studyforever-1 2025. 8. 28.

1일차 강의 주제 : BD를 위한 창업가 정신

과제 내용 : 프리토타이핑 사례 찾아보기

 

실습 과제

  1. “미리 팔아보기” 사례를 국내 3개, 해외 3개 사례를 찾아주세요. (검색 키워드 : 프리토타이핑, 스모크테스트)
  2. 조사한 사례를 하기 양식대로 정리해보세요.
    • 타겟 시장
    • 가설
    • 실험 방법
    • 투입 자원(돈, 노동력 등)
    • 실험 결과

1 - 1. 미리 팔아보기 해외 사례 3개

  (1) Mechanical Turk 기법

  IBM 등의 사례처럼 기술이 구현되기 전, 사람이 몰래 그 기능을 대행하는 방식. 예: IBM이 음성 인식 기술을 시험하면서 실제로는 속기사들이 몰래 입력하여 반응을 확인했습니다.

 

  (2) 에어비앤비의 '하룻밤 실험'

  Airbnb는 실제 숙소가 없던 초기 단계에서, 가짜 숙소 사진과 함께 '하룻밤 예약하기' 버튼을 웹 사이트에 올려 실수요를 확인했습니다. 이를 통해 시장 반응을 파악한 후 본격적인 서비스 론칭을 진행했습니다.

 

  (3) roupon의 블로그 기반 판매 실험

  Groupon은 복잡한 플랫폼을 만들기 전, 단순한 워드프레스 블로그에 쿠폰 판매 버튼을 붙였습니다. 실제 주문이 들어오면 수작업으로 PDF 쿠폰을 만들어 이메일로 발송했습니다. 이를 통해 초기 시장 수요를 검증했습니다.

 

1 - 2. 미리 팔아보기 국내 사례 3개

  (1) KT 'AI빌라(찐소장)' 미캐니컬 터크 방식

  KT는 아직 구현되지 않은 기능이 실제 동작하는 듯 시연하면서 사용자의 반응을 관찰했습니다. 이는 기술 대신 사람이 몰래 기능을 대신 체험시키고 데이터를 모으는 방식으로, 미캐니컬 터크 방식의 프리토타이핑 사례입니다

 

  (2) 당근마켓

  새로운 기능 도입 전에 사용자 반응을 빠르게 실험하고 피드백을 수집하는 프리토타이핑 방식을 적극 활용 중입니다. 예시로, 굿즈 판매 아이디어 테스트 이벤트도 해당 개념이 적용된 사례로 언급됩니다.

 

  (3) ‘될 놈인가 봅시다’ 소책자 프리토타이핑

  정식 출간 전, 소책자로 먼저 제작해 반응을 확인하고 책 출간 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먼저 소책자를 소량 인쇄해 배포하다가, 입소문과 반응에 기반해 정식 출간으로 이어졌고, 이후 번역본까지 출간되었습니다.

 

2 -1. 조사한 사례를 하기 양식대로 정리해보세요.(해외 사례)

사례명 타겟시장 가설 실험방법 투입자원 실험결과
맥도날드 McSpaghetti 패스트푸드 소비자 스파게티 메뉴를 추가하면 고객이 구매할 것이다
  1. 맥도날드는 “스파게티 메뉴도 패스트푸드점에서 잘 팔릴 수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세움.
  2. 실제로 제품을 만들지 않고, 메뉴판과 앱에만 ‘McSpaghetti’를 추가해 주문 여부를 관찰.
  3. 고객이 주문하면 “아직 출시되지 않았지만 무료 쿠폰을 드리겠다”고 안내.
  4. 일부 지역에서 주문 반응이 나오자, 실제로 스파게티 메뉴를 시험 출시.
  5. 그 후 다른 신메뉴 검증에도 같은 방식을 적극 활용.
메뉴판 수정, 앱 UI 변경, 쿠폰 발급 일부 지역 반응 긍정적 → 실제 메뉴 출시
Airbnb 초기 실험 여행객, 숙박 소비자 개인 숙소 공유에 실질적 수요가 있다
  • 공동 창업자들은 “개인의 남는 방을 빌려주는 숙박 서비스에 사람들이 돈을 낼까?”라는 가설을 세움.
  • 숙소를 직접 보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간단한 웹페이지에 가짜 숙소 사진과 ‘예약하기’ 버튼만 올림.
  • 실제 신청이 들어오자 집을 빌려주고, 경험을 사진으로 기록해 플랫폼에 올림.
  • 초기에 예약이 성사되면서 아이디어가 통한다는 확신을 얻음.
  • 이를 계기로 본격적인 숙박 공유 플랫폼 개발에 착수.
간단한 웹페이지, 가짜 숙소 사진 초기 사용자 확보 → 본격 서비스 론칭
IBM 음성인식 (미캐니컬 터크) 기업 고객 음성 인식 기능에 대한 수요가 있다
  • IBM은 “기업 고객들이 음성인식 기술에 관심을 가질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함.
  • 실제 음성인식 기술이 완성되지 않았던 시점, 회의실에서 시연을 할 때 속기사들이 몰래 받아적어 컴퓨터가 처리한 것처럼 연출.
  • 고객들이 자연스럽게 음성 입력 결과를 보면서 기능에 놀라움과 관심을 표현.
  • 수요가 있다는 확신을 얻자, 연구개발팀에 정식 투자를 결정.
  • 이후 본격적으로 음성인식 기술 상용화를 추진.
속기사 인력, 시연 장치 고객 반응 및 선호도 확인 → 정식 개발 투자 정당화

 

2 - 2. 조사한 사례를 하기 양식대로 정리해보세요.(국내 사례)

사례명 타겟시장 가설 실험방법 투입자원 실험결과
KT ‘AI빌라(찐소장)’ 아파트·빌라 입주민 AI 기반 스마트홈 관리 기능에 수요가 있다
  • KT는 “입주민들이 AI 기반 스마트홈 관리 기능을 원할 것이다”라는 가설을 세움.
  • 아직 기능이 구현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제로 동작하는 것처럼 보이게 시연(미캐니컬 터크).
  • 입주민들이 기능을 체험하며 흥미와 긍정적 반응을 보임.
  • 강남 일부 빌라에서 긍정적 데이터를 확보.
  • 그 후 부산·경남 등 76개 동으로 PoC 확장 준비.
시연 장비, 운영 인력 고객 반응 긍정적 → PoC 확장, 76개 동 확대 준비
당근마켓 기능 실험 중고거래 앱 사용자 굿즈·부가 기능에도 수요가 있을 것이다
  • 당근마켓은 “중고거래 외에도 굿즈나 부가 기능에 대한 수요가 있을까?”라는 가설을 세움.
  • 앱 안에 새로운 기능 버튼과 이벤트를 삽입해, 사용자가 얼마나 반응하는지 확인.
  • 일부 버튼은 클릭률이 높았고, 일부는 전혀 반응이 없음.
  •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기능은 정식 서비스로 이어짐.
  • 반응이 미미했던 기능은 빠르게 제거하여 리소스를 절감.
앱 UI 수정, 이벤트 운영 일부 기능은 정식 서비스화, 일부는 폐기
‘될 놈인가 봅시다’ 소책자 책·자기계발 독자 정식 출간 전에도 독자 수요가 있을 것이다
  • 저자는 “정식 출간 전에도 독자가 있을까?”라는 가설을 세움.
  • 책의 핵심 내용을 요약해 소책자로 소량 인쇄 후 지인과 독자들에게 배포.
  • 독자들의 반응이 예상보다 훨씬 뜨거움.
  • 입소문이 퍼지고 더 많은 인쇄 요청이 발생.
  • 이후 정식 책으로 출간되었고, 번역본까지 나오며 시장성을 입증.
소량 인쇄 비용, 배포 노력 긍정 반응 → 정식 출간 및 번역본까지 확산